● 탐험 일시 : 2015년 4월 6일
● 탐험 장소 : 옛 광주읍성 폴리
● 주중 월요팀(월탐)
● 참가자 : 김미정팀장, 서연정팀원, 추현경팀원
● 작성자 : 김화선
● 우리지역 폴리는 옛 광주음성 주변 아시아문화전당을 중심으로 11곳에 세계적인 유명 건축가와
디자인너들이 참여 설치되여 도시재생에 기여할 수 있는 건축물울 의미하며 건축물 기능을 읽고
장식적 역활을 하는 건축을 뜻합니다.
● 사랑방
- 장소 : 광산길 아시아문화전당 옆
- 다양한 활동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는 공공 공간으로 탄생
● 열린 공간
- 장소 : 구 시청 서거리
- 시민들의 만남의 광장
● 투표
- 장소 : 추후보완
- 통행이 빈번한 거리에 설치 "얘" "아니오" "중립" 등으로 세가지 질문을 던지는 도로를 통과하게 되어
새로운 형태의 진접적인 투표로 생산한다.
● 기역의 현재화
- 장소 : 황금로 사거리
- 잊혀진 역사에 또다른 현재, 미래를 쌓아가다.
● 열린 장벽
- 장소 : 광주세무서 앞
- 현대의 삶과 광주읍성의 기억을 간직한 장벽을 열다.
● 99칸
- 장소 : 충장치안센터 앞
- 한옥의 새로운 재해석, 광주읍성의 북분을 상징한다.
● 유동성 조절
- 장소 : 금남로 공원
- 강주의 역사와 기억, 보행자에게 공원을 안겨주다.
● 광주사람들
- 장소 : 추후보완
- 3,000개 강철봉 지면과 하늘 사이의 공간을 파고들다.
● 서원문 제동
- 장소 : 김재규 경찰학원 앞
- 역사적 기념비와 함께 시민들의 일상을 공유하다.
● 소통의 오두막
- 장소 : 장동 사거리
- 교통섬 시민들의 소통을 위한 오두막으로 다시 태어나다.
● 잠망경
- 장소 : 구 시청 사기리
- 시민들에게 지상25m의 탁트인 시야를 선물하다.
'지역명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신시와게스트하우스 및 발해그래픽스 (0) | 2016.03.17 |
---|---|
[스크랩] 광주학생독립운동 전남여고 역사관, 갤러리카페 보리와이삭, 이공칠 (0) | 2016.03.17 |
[스크랩] 월 ㅡ 0413 ㅡ 김화선 ㅡ 광주비엔날레 & 광주폴리 (0) | 2016.03.17 |
[스크랩] 월 ㅡ 0420 ㅡ 김화선 ㅡ 화담사 경내 (0) | 2016.03.17 |
[스크랩] 월 - 0427 - 김화선 - 유덕동 석조여래좌상, 광주 배꼽 (0) | 2016.03.17 |